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6

수소 에너지 생성과 운송 수소 에너지가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에 대해, 수소 에너지, 글로벌 패권 전쟁의 서막 (https://wannab.tistory.com/9) 에서 살펴보았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수소에너지의 생성과 활용'에 대하여 다루어 보고자 한다. 수소는 우주 질량의 75% 가량 차지한다고 한다. 사실상 거의 무한한 물질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수소는 에너지로 활용 가능한 독립적인 수소분자로 존재하는 경우 보다, 대부분 물이나 가솔린과 함께 유기화합물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속에서 수소를 통하여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수소에너지는 어떻게 생성 될까? 일부 사람들은 수소에너지라 하면 물에서 바로 수소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 2020. 8. 1.
수소 에너지, 글로벌 경쟁 최근들어 차세대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자원 고갈과 다음 세대를 위한 환경 보호를 위하여 기존 화석연료의 대체안이 필요하다는 글로벌 상 일관된 목소리에 힘입어, 그 대체재로 수소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수소 자체를 생성하는 현 기술력의 한계로 아이러니하게도 수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긴하지만 말이다. 1. 수고에너지 글로벌 경쟁의 시작 수소가 국제 사회의 주인공으로 본격적으로 데뷔한 시점은 '15년 파리 기후협약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유엔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 사무총장의 리딩하에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파리 협정)에서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195개국 만장일치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세계적 합의가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은 각.. 2020. 7. 25.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 정부 차원에서 준비하기 시작한 '차세대 교통수단,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 평소에는 자동차로 필요시에는 비행기로, 영화에서만 보던 날아다니는 자동차를 이제 현실에서 보게 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국토 교통부에서 '20.6.24 미래 신산업이자 차세대 모빌리티로 부상하고 있는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의 실현을 위하여, 도심항공교통 분야 주요 40여 개 기관, 업체가 참여하는 도심 항공교통 민관 협의체 (UAM Team Korea) 발족하였다. 도심항공교통의 핵심은 그간 도심 외곽의 공항과 공항을 잇던 항공의 영역을 도심 내로 확장한다는 것이다. 국토부 장관은 "미래 신산업인 도심항공교통의 현실화를 위한 민관 합동 정책 공동체는 우리나라가 최초"라고 말했다. 사실 이러한 '도심항공 모빌리티 UAM.. 2020. 7. 19.
컴플라이언스의 의미와 중요성_ compliance 경영에 있어 (주주)이익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며, 그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지켜야 할 법적, 관습적 기준이 항시 고려되기 마련이다. 특히나 요즘과 같이 소셜네트워크의 파급력이 기성 언론매체 이상의 효과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말이다. 물론 언론의 뭇매가 두려워 이러한 기준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아님은 먼저 명확히 하고 싶다. 이러한 부분들의 관리 미흡은 곧 기업의 Risk로 이어질수 밖에 없으며, 주요 Risk로는 'Regulation Risk, Compliance Risk, Regulation Risk'의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여기서는 그중 Compliance Risk에 대하여 좀 더 살펴보았다. 네이버 사전에서 정의하고 있는 컴플라이언스 (compliance)의 사전적 의미.. 2020. 7. 4.
상용차 시장의 전동화 _ 브랜드 사례 앞서 '상용차 시장의 전동화 _ 전동화 시장의 퍼스트 무버' 컨텐츠에서 상용차 시장의 전반적인 트랜드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https://wannab.tistory.com/4 다음에서는 이러한 트랜드에 발맞추고 있는 여러 브랜드들의 동향을 살펴 보겠다. 상용차 시장 내 브랜드별 전동화 준비 현황 앞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중국은 전동화 시장에서 가장 빠른 행보를 보여주고 있으며, 더나아가 FCEV 시장에서도 한발 앞서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17년부터 정부 지원하에 일부 상용업체를 통하여 FCEV의 양상을 시작하였으며 ‘18년 기준 6백여대의 판매를 실현 시키기까지 했다. 중국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기차 브랜드인 BYD는 ‘15년 미국 캘리포니아 랭카스터에 제1공장을 완공했으며, ‘17년 헝가리 코.. 2020. 6. 29.
바보들은 항상 남의 탓만 한다, 존G. 밀러 제목 : 바보들은 항상 남의 탓만 한다 저자 : 존G. 밀러 일을 하다보면 온갖 핑계와 변명으로 가득 찬 사람들을 가끔 볼 때가 있다. 특히 업무 실패나 진척이 잘 안 되는 경우에 이러한 특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은데, 생각보다 상급자나 주위 사람들은 그 사람의 핑계를 듣고, 믿기보다는 이러한 사례를 그 사람의 가치와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 같다. 그렇다고 남의 평가가 무서워서 핑계대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남 탓'하는 것은 버릇?! 이 되어 스스로를 '바보’로 내몰기도 한다다는 것, 그것을 더욱 주의 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자칫 본인이 느끼기도 전에 바보가 될수 있기 때문에... '바보들은 항상 남의 탓만 한다' 제목과 같이... 저자는 남탓만 하.. 2020.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