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의 여행

프로페셔널의 조건, 피터드러커, Peter Drucker

by enjoylife 2020. 4. 16.
반응형

제목 : 프로페셔널의 조건 _ 어떻게 자기 실현을 할 것인가
저자 : 피터드러커 (Peter Drucker)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13세기 유럽의 길드(city guild)로 인한 교역을 시작으로 인쇄술(쿠텐베르크)의 발명, 종교개혁의 마르틴 루터,
미국의 독립운동, 증기기관의 완성,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발생, 산업혁명, 유대인 해방, 생산성 향상(테일러) 등
이러한 전환기의 단계를 거쳐 현재는 전문지식 사회가 도래되었다. 

 

 

여기서의 '지식'이란 행동하는데 효과가 있는 정보이고, 결과에 초점을 맞춘 정보로써 개인의 내면이 아닌, 밖으로 드러나는 결과물로 나타나게 된다고 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물의 산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공동과업 수행을 위하여 조직이라는 구성체가 생긴 것이며, 지식이라는 것은 그 본질상 높고 낮음이 없기에 어느 과업의 달성을 위하여 어느 지식이 얼마만큼의 기여를 하였는가 하는 기여도에 의하여 지식의 질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하기에 각 개개인들은 단순히 자신의 단점을 개선하는 것보다는 장점을 찾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조직을 찾아야 하며, 반면 조직은 지식인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식 기여도에 맞는 대우와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지식인은 이러한 기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끊임없이 약 4년이면 구식이 되어 버리는 지식에 대한 업그레이드와 노력, 자기개발이 함께 수행되어야만 현재의 지식인으로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즉, 지식인들은 끊임없이 자기개발과 다양한 지식들을 바탕으로 기회를 결과로 전환 시켜야 하며, 이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보다 훨씬 생산적인 것이 되게 된다(문제 해결이란 과거의 균형 회복 차원임)는 것이다.

피터드러커의 책 '프로페셔널의 조건'을 읽으면서 지식인의 비애와 가능성을 동시에 볼 수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나는 과연 지식인으로서 옳은 길을 선택하였으며 또한 가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곤 하였다.

 

스스로의 강점을 발견하고 개발하고 집중하고, 여기에 걸맞는 조직을 찾고 또 새로운 것을 학습해야 하는 지식인,
나 또한 지식인이라 할수 있다고 본다면, 과연 나는 어떠한 길을 걷고 있는 것인가? 그냥 현재를 열씸히 살면 되는 것인가?..... 당장에 답을 찾을 수는 없겠지만 나를 위해서라도 끊임없이 고민하고 방향을 찾아가는 길을 걸어야 겠다라는 막연한 생각을 갖어 본다.

 

끝으로 '프로페셔널의 조건'의 저자인 피터드러커의 한마디를 되새겨 본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다."
즉, 미래는 지금을 살아가는 내가 만드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