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으로의 여행

아마존의 물류 전략

by enjoylife 2020. 9. 7.
반응형

아마존의 성공 노하우에 대한 서적과 이야기 들이 끊이질 않고 있다.
앞선 컨텐츠에서 살펴본 최근에 출시된 책 「포에버데이원」에서는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최고의 인재 선발 관리, 모든 것의 데이터화와 이를 위한 시스템 구축, 그리고 핵심적으로 영원한 Day1 문화 정착'이라는 내용으로 아마존의 성공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깊이 있는 내용이라기보다 기업의 매니징 방법의 트렌드 측면에서 가볍게 읽을 수 있었던 내용이었다.

아래에서는 아마존의 성공에 대하여 큰 틀에서의 이야기가 아닌 현실적인 요인 중 '아마존의 물류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아마존 물류 창고

 

 

1. 물류 산업에서의 '아마존 위상'

 

아마존은 미국 온라인 커머스 시장 'M/S 약 39% (2020년 1분기 기준)'로 월마트(약 5.3%), 이베이(4.6%)와의 압도적 차이로 1위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아마존의 차별화된 상품 제공과 고객서비스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하겠지만, 그중 평균 배송 시간 2.5일이라는 빠른 물류 서비스(업계 평균 5.3일) 제공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본다.

그렇다면 아마존의 물류 전략은 어떠한 혁신적 방법으로 시장내에서 차별화된 물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는가?

차별화 전략으로 크게 3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겠다.


① 예측 배송

: 아마존 물류 전략에 있어 가장 혁신적인 부분을 뽑는다면 예측 배송일 것이다. 아마존은 고객의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구매 가능성과 지역별 수요량을 예측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통하여 고객 주문 이전에 지역 배송 센터에 상품을 선 입고함으로서 고객 상품 주문 시 빠른 시간 내 배송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② 자동화 물류

: 아마존은 상품의 패킹 및 배송을 위한 물류 최적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으며, 배송을 위한 상품을 적재 운반함에 있어서 자동화 로봇 '키바'를 '14년도에 선재적으로 도입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출하 시간을 '기존 75분 → 15분'으로 대폭 단축시켰다.


③ 풀필먼트 서비스

: 풀필먼트(Fullfillment)란 물류 센터에서 입고되어 있는 상품들을 '선별, 포장, 배송'까지 한번에 처리해 주는 토털 물류 서비스를 의미한다. 아마존은 자체 물류 센터에서 풀필먼트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으며, 자체 물류센터에 제3자 셀러(Seller)들의 상품 재고관리와 배송 및 반품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켜 전체 물류비를 다운시키고 있다.

 

 

2. 아마존의 물류 전략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아마존은 물류 체계의 혁신을 통해 시장내 초월적 1위로서의 자리를 굳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언텍트 사회 분위기 조성 등으로 물류 산업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이에 대한 대비책이 아직 미흡한 바 아마존은 또다시 물류 혁신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end - to - end' 무인화
증가되고 있는 물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근본적 이유는 '물류비'와 '인력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아마존은 기존 물류 창고 중심으로 고민하던 '무인화' 영역을, 고객 접점인 last mile 까지로 확장한다는 목표 전략하에 다양한 혁신들을 꽤하고 있다.


first mile

: 아마존은 '19년 초부터 엠바크社 및 리비안社와 같은 EV 스타트업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었으며, 이들 회사를 기반으로 first mile 상에서는 자율 주행을 통한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first mile은 '고속도로 위주의 운송 루트, 보행자 및 미예측 이동물체 등으로부터의 장애 리스크 적음, 고정된 이동 경로를 활용한 주행 셋팅' 등의 특성으로 자율주행을 통한 아마존의 물류 전략 시스템의 조기 도입이 용이해 보이기 때문이다.


last mile

: 고객과의 최종 접점으로 많은 고려 요인들이 있어 당장 혁신적인 물류 방안 도입의 실현은 어려워 보이지만, 아마존은 여러 솔루션들을 현재 테스트 중으로 조만간 결실을 맺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1) 드론 배송 '프라임 에어' : 교외/저밀도 지역 내 물류 타겟, 빠른 배송(30분 내) 대응 용이

 

아마존 프라임에어 (PrimeAir)

 

2) 배송 로봇 '스카우트' : 시내의 단층/저밀도 지역 내 물류 타겟

 

아마존 스카우트 (Scout)

 

3) 자율주행 '아마존 락커' 차량 : 개별 접근이 어려운 고층/고밀도 지역 내 물류 타겟, 다량 배송 및 고객 시간에 맞춘 예약 배송 가능

 

아마존 락커 (locker)

 

 

3. 향후 방향

 

아마존의 물류 전략은 기존 방식의 개선을 넘어서 이종 산업간의 연계/확장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초월적 전략이 시장 내 자리 잡게 된다면 앞으로의 아마존은 물류 시장내 지배력을 더욱 곤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물류 서비스에서 확보한 기술들은 현재 여러 모빌리티 회사에서 추구하고 있는 자율 주행 등과 동일한 시스템 체계로, 해당 부분에서의 역량과 경험치가 쌓인다면 앞으로 아마존은 로보택시나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로의 사업 확장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업계를 전망하고 있다.

 

이제 아마존의 행보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트렌드이자 미래가 되어가고 있다.

 

 

반응형